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7

투자 수익률 과 기대수익률 관계 투자 수익률과 기대수익률 관계 기대수익률의 결정요인 앞 포스팅에서 주식의 체계적인 위험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베타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죠. 베타가 크면 위험이 크다고 말하고 베타가 작으면 위험도 작다고 했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위험을 가져간 대가로 어떤 수익률을 요구하거나 기대할 수 있는지 알아보아야겠죠.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위험이 크면 그 대가로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어야 하고 위험이 작으면 낮은 수익률에도 만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낮은 위험을 가진 자산이 계속 높은 수익률을 올린다면 사람들이 그 자산을 사기 위해 몰려들고 그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여 나중에 매입한 사람들은 예전처럼 높은 수익률을 올리지 못하게 됩니다. 반대로 높은 위험을 지닌 자산이 낮은 수익률밖에 올리지 못한다.. 2021. 12. 31.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 속 베타계수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 속 베타계수 그래프는 분산투자를 통해 주삭의 수를 증감시킬 때 포트폴리오의 위험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고 있죠. 점 a는 한 가지 주식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표준편차를 나타냅니다. 여기에 서로 완전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은 주식을 추가하면 포트폴리오의 위험은 감소되죠. 그러나 주식 수를 늘리면 포트폴리오의 위험이 감소하지만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현실적으로 상관계수의 값이 -1인 주식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었죠. 대부분의 주식은 경제가 좋을 때 상승하고, 경제가 침체될 때는 하락합니다. 따라서 주식 수가 늘어남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표준편차는 감소하기는 해도 완전히 위험을 없앨 수는 없는 것이죠. 주식의 분산투자를 통해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부분.. 2021. 12. 30.
투자위험 측정 상관계수와 포트폴리오 투자위험 측정 상관계수와 포트폴리오 상관계수 correletion coefficient는 공분산을 표준화한 것입니다. 두자산의 수익률 관계를 -1과 +1 사이 범위의 값으로 설명하는데, 일단 공분산을 계산하면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계산할 수 있죠. 위의 ρab는 상관계수이며 σa, σb는 각 자산 a, b의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COVab는 두 자산 간의 공분산을 나타냅니다. 두 자산 수익률의 자산 수익률의 공분산을 각 자산 수익률의 표준편차로 나누면 공분산을 표준화시킬 수 있죠. 상관계수를 이용하면 두 자산 수익률 간 관련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일이 가능해집니다. 2021.12.28 - [투자 위험 수익률 알아가기] - 투자 위험 측정법과 종류 투자 위험 측정법과 종류 투자 위험 측정법과 종.. 2021. 12. 29.
투자 위험 측정법과 종류 투자 위험 측정법과 종류 수익률의 분산과 표준편차 투자 위험을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위험을 투자에서 손실을 보는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수익률의 확률분포가 좁으면 좁을수록 덜 위험하다고 인식할 수 있고 그런 의미에서 앞서 포스팅한 투자수익률 분석법의 그래프처럼 a주식이 덜 위험한 주식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죠. 2021.12.27 - [투자 위험 수익률 알아가기] - 투자와 수익률 계산 방법 투자와 수익률 계산 방법 투자와 수익률 계산 방법 투자란 사람들은 평생 동안 돈을 벌고 사용하면서 살아가죠. 그런데 돈을 버는 만큼만 소비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소득이 지출보다 많은 기간이 있고, post-i-t.tistory.com 이러한 확률분포의 정도를.. 2021. 12. 28.
투자와 수익률 계산 방법 투자와 수익률 계산 방법 투자란 사람들은 평생 동안 돈을 벌고 사용하면서 살아가죠. 그런데 돈을 버는 만큼만 소비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소득이 지출보다 많은 기간이 있고,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경우도 있게 됩니다. 이러한 소득과 지출의 불일치가 현재의 소득에서 추가로 돈을 빌리거나 저축해야 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죠. 현재의 소득이 원하는 지출보다 크다면 대부분은 남는 소득을 저축하는 경향이 있죠. 저축의 방법으로 집안의 금고에 넣어두거나 자신만의 공간에 차곡차곡 쌓아두죠. 이러한 경우 저축한 만큼 돈이 쌓이게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남는 돈을 자신이 직접 보유하지 않고 그 대가로 미래에 더 큰돈을 받기를 원하는 것이죠. 이를 현재의 소비를 미래의 더 큰 규모의 소비와 바꾼다고 말할 수 있.. 2021. 12. 27.
반응형